멀티모니터를 사용하여 rdp(mstsc)를 연결해서 리모트 Windows 10을 원격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배치해 놓은 프로그램 창들이 재연결을 하면 원래위치가 아닌 메인 모티터 화면으로 재배치가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 3개가 있고 원격으로 연결 후 우측 모니터에 메신져 창을 띄웠다가 rdp
bash and zsh startup files loading order
< bash와 zsh이 시작될 때 로딩되는 파일들의 순서도 >
esxi disk umount error, busy
vmfs 파일시스템 체크를 위해 특정 디스크를 umount 하는데 umount가 되지 않는다. – 타겟 디스크 볼륨 정보t10.ATA_____Hitachi_HDT721010SLA360_______________________STF605MH1KJVDW/vmfs/volumes/5c255f39-bee3047e-f6ba-3ca315048dfe/ – 디스크를 umount 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syslog 메시지와 함께 umount가 되지 않음.2021-03-03T19:08:46.706Z cpu0:2098494 opID=704b4966)WARNING: VC: 2359: unmounting opened volume ('5c255f39-bee3047e-f6ba-3ca315048dfe' 'HDD02') is not
scp on esxi
esxi -> esxi 간 scp로 파일 전송 시 [root@localhost:~] scp -P 2260 -r RHEL77-VM/ myserver.net:/vmfs/volumes/60389013-63cf4994-d113-64e599f46e7e FIPS mode initialized 위 상태에서 멈춰 있을 경우 수신측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방화벽을 off 한다. [root@localhost:~] esxcli network firewall set -e false – SCP 재수행[root@localhost:~]
sudo 보안취약점 (CVE-2021-3156)
요약 Important: sudo security update 유형/심각도 Security Advisory: Important 설명 쉘에서 sudo 명령을 실행할 때 -s 또는 -i 옵션을 통해 백 슬래시로 명령 인수의 특수 문자를 이스케이프할 때 Heap buffer overflow 되는 취약점이 발견됨.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root 권한이
CentOS 8 Screen Share – Access via Windows VNC Client
CentOS 8 에서는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윈도우용 VNC Client 프로그램으로 접근이 되지 않는 이슈가 있는데 이 문서의 설정대로하면 이슈 없이 접근을 할 수 있다. 1. firewall 설정 방화벽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터미널창에서 방화벽 룰을 추가해 준다. # firewall-cmd –add-service=vnc-server –permanent
RHEL / CentOS / Ubuntu Linux libpcre 손상에 의한 오류
리눅스 바이너리 파일들이 참조하는 주요 라이브러리 손상에 따른 시스템 이상 동작 확인 및 해결 방법 RHEL(CentOS) 7.x 기준으로 설명된 내용임 이슈 CentOS 7.3 서버에서 아래 메시지와 함께 서버가 컨트롤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됨 ls: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64/libpcre.so.1: file too short
vim noautoindent
vim으로 config나 yaml 파일들을 편집하다보면 어떠한 라인들을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할 때가 있다. 이 때 자동 들여쓰기가 라인마다 반영이 되어 아래와 같이 입력이 된다. autoindent 기능으로 인해서 들여쓰기가 자동 반영되어 그러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vimrc에 적용을 한다. 적용 후 shell 재실행
insert the zone of named
wellit.kr 도메인을 ns1.mapoo.net 도메인에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4단계 절차로 진행된다. 도메인 구입https://domain.ksidc.net 에서 구매 네임서버에서 zone 설정ns1.mapoo.net 에서 wellit.kr.zone 설정 네임서버 변경ns1.mapoo.net , ns2.mapoo.net 으로 변경 메일서버 연동다음 smart work에서 도메인 연동 아래는 상세 설명이다. 도메인 구입 ksdom
making install file by makeself for linux
makeself를 이용하여 실행파일 형태의 installer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본다. makeself 프로젝트 공식사이트 주소 : https://makeself.io/ 1. makeself 설치 2. 파일 배치 특정 디렉토리를 만들 고 install 파일들을 배치 3. install 할 파일들 압축 4. install 스크립트 작성 -> install-mypro.sh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