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Important: sudo security update 유형/심각도 Security Advisory: Important 설명 쉘에서 sudo 명령을 실행할 때 -s 또는 -i 옵션을 통해 백 슬래시로 명령 인수의 특수 문자를 이스케이프할 때 Heap buffer overflow 되는 취약점이 발견됨.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root 권한이
CentOS 8 Screen Share – Access via Windows VNC Client
CentOS 8 에서는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윈도우용 VNC Client 프로그램으로 접근이 되지 않는 이슈가 있는데 이 문서의 설정대로하면 이슈 없이 접근을 할 수 있다. 1. firewall 설정 방화벽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터미널창에서 방화벽 룰을 추가해 준다. # firewall-cmd –add-service=vnc-server –permanent
RHEL / CentOS / Ubuntu Linux libpcre 손상에 의한 오류
리눅스 바이너리 파일들이 참조하는 주요 라이브러리 손상에 따른 시스템 이상 동작 확인 및 해결 방법 RHEL(CentOS) 7.x 기준으로 설명된 내용임 이슈 CentOS 7.3 서버에서 아래 메시지와 함께 서버가 컨트롤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됨 ls: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64/libpcre.so.1: file too short
vim noautoindent
vim으로 config나 yaml 파일들을 편집하다보면 어떠한 라인들을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할 때가 있다. 이 때 자동 들여쓰기가 라인마다 반영이 되어 아래와 같이 입력이 된다. autoindent 기능으로 인해서 들여쓰기가 자동 반영되어 그러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vimrc에 적용을 한다. 적용 후 shell 재실행
insert the zone of named
wellit.kr 도메인을 ns1.mapoo.net 도메인에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4단계 절차로 진행된다. 도메인 구입https://domain.ksidc.net 에서 구매 네임서버에서 zone 설정ns1.mapoo.net 에서 wellit.kr.zone 설정 네임서버 변경ns1.mapoo.net , ns2.mapoo.net 으로 변경 메일서버 연동다음 smart work에서 도메인 연동 아래는 상세 설명이다. 도메인 구입 ksdom
making install file by makeself for linux
makeself를 이용하여 실행파일 형태의 installer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본다. makeself 프로젝트 공식사이트 주소 : https://makeself.io/ 1. makeself 설치 2. 파일 배치 특정 디렉토리를 만들 고 install 파일들을 배치 3. install 할 파일들 압축 4. install 스크립트 작성 -> install-mypro.sh는
Clone and Operate script for VM on the KVM
아래 스크립트는 여러개의 VM을 KVM Host의 쉘에서 Clone 하기 위한 스크립이다. 사전에 kvm 구성 및 template vm에 대한 xml 및 image(qcow2)가 준비되어 있어야 동작된다. 1. clone-vm.sh #!/bin/bash ######## USER DEFINE DEFAULT VARIABLE ######## ORIGINALVM=template ORIGINALXMLFILE=/root/template.xml VMIMAGESAVEDIR=/home/vm-images DEFAULTMKVMS=10 ############################################## VERSION="0.1" #
Change the locale to ASCII
가끔 locale 설정을 LC_ALL="C" 설정을 해야할 때가 있는데, 자꾸 까먹어서 기록해 둔다. Locale 언어/국가에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역/언어"정보다. 아래와 같이 Linux에서 local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locale LANG=en_US.UTF-8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Using KVM with CLI Mode
KVM Host에서 virsh을 통해 CLI 모드만으로 Linux VM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운영상 원격에서 GUI를 띄우기 힘든 환경에서 CLI 모드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본인의 테스트 시스템(테스크탑, Intel i3-8100 기반)에는 VMWare ESXi 6.7 U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문서대로 진행 시 위와 같은
Linux – Why MemTotal not same the actual RAM value of real installed memory
이슈 상황 Hypervisor에서 리눅스, 윈도우즈 VM에 동일한 메모리 사이즈로 할당하였는데 Mem Total이 다른 현상 환경 Hypervisor(ESXi/KVM 등)상의 리눅스/윈도우 VM에 각각 8G 메모리를 할당 확인 방법 리눅스에서 확인 [root@rhvm43 ~]#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