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22.05.01 경)부터 갑자기 작업도 하지 않는데도 노트북이 심하게 버벅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발생 환경 노트북 스펙은 아래와 같다. 노트북 모델: Samsung NT901X5N 세부 스펙: CPU: intel i7-7500 MEM: 16GB SSD: 512GB VGA: intel HD 620 OS: Windows 10
Protect Data by Robocopy Batch Script
robocopy는 sync 개념의 Backup을 수행할 수 있는 Windows의 내장 프로그램으로 리눅스의 rsync와 유사하다. robocopy 와 간단한 batch script를 통해 Windows PC의 주기적 데이터 백업과 추가적으로 랜섬웨어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주의 robocopy를 잘 못 사용하면 원본
rdp multimon 옵션으로 연결 시 창 위치
멀티모니터를 사용하여 rdp(mstsc)를 연결해서 리모트 Windows 10을 원격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배치해 놓은 프로그램 창들이 재연결을 하면 원래위치가 아닌 메인 모니터 화면으로 재배치가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 3개가 있고 원격으로 연결 후 우측 모니터에 메신져 창을 띄웠다가 rdp
nslookup works but ping fails on Windows
본인의 윈도우 Server 2016 VM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cmd창에서 nslookup으로 특정 도메인에 대한 쿼리를 reply 받아서 ip까지 확인이 된다. C:\WINDOWS\system32>nslookup projects.engineering.redhat.com 서버: infoblox-trust01.nrt.redhat.com Address: 10.64.255.25 권한 없는 응답: 이름: jira-01.hosts.prod.upshift.rdu2.redhat.com Address: 10.0.13.82 Aliases: projects.engineering.redhat.com 하지만 해당 도메인에 ping 또는 웹페이지
Taskbar not visible in 10 RDP(Remote Desktop) on Windows 10
윈도우 10, 윈도우 2016 Server 기반의 OS에 RDP(리모트데스크탑)로 연결 시, 리모트 OS의 Taskbar(작업관리자)가 사라지는 현상을 조치하는 방법이다. 단순히 작업관리자 자동 숨기기와 같은 현상이 아니다. 재부팅/로그아웃 또는 Windows 탐색기 재시작 전에는 해결이 안된다. 작업 순서 Restart Windows Explorer process. Clear
너무 긴파일, 긴폴더명 지우기
윈도우 탐색기에서 폴더를 지우는데 '파일 이름이 너무 깁니다.' 메시지와 함께 지워지지 않는 폴더에 대한 정리 방법이다. 특히 레드햇 리눅스의 sosreport 파일을 윈도우에 압축 해제하는 경우 종종 발생한다. 하위 폴더에 여러개의 긴 파일이 있어도 아래와 같이 수행하면 한번에 지울 수 있다.
RDP 단축키
ALT+PAGE UP Switches between programs from left to right. (전체화면(또는 멀티모니터)이 아닐 경우, Alt + Tab과 같은 기능) ALT+PAGE DOWN Switches between programs for right to left. (전체화면(또는 멀티모니터)이 아닐 경우, Alt + Tab과 같은 기능) ALT+INSERT Cycles through the
rdp 창간 전환 단축키
전체 또는 멀티모니터로 연결한 멀티 rdp에서 창간 전환 단축키에 대해 알아본다. 본인은 평소 업무 시 노트북에 항상 RDP를 이용하여 Remote Windows VM 2개를 띄워 놓고 일을 한다. 노트북은 마치 씬클라이언트처럼 연결만 시켜주는 역활을 할뿐 껍데기에 불과하다. 즉, 아래와 같은 환경이다. 1) RDP(Remote
rdp batch sample
윈도우 mstsc (rdp) 연결을 위한 batch 파일 샘플. 바탕화면에 생성 후 사용. rdp.bat rdp1.bat @echo off title RDP1 color EF mode con cols=25 lines=1 mstsc /v rdp.sample.com:3359 /multimon exit cmd 창에 명령행을 출력하지 않음. rdp.sample.com:3359 주소를 갖는 mstsc 서버에
proftpd mod_site_misc
SyncBack Pro 백업 솔루션을 이용하여 Windows PC의 파일을 원격의 리눅스 proftp서버로 파일 전송을 하여 백업(sync 방식으로)을 진행하면 원본쪽 기존의 파일이 변화된게 없어도 백업 솔루션이 삭제 후 다시 업로드를 하는 경우가 발생. 확인을 해보니 proftp server의 SITE UTIME command 기능이 동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