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mapoo's 블로그 운영 17년 차다. 지금처럼 직접 호스팅하는 서버에서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한지는 12년 차이다.

워드프레스는 2014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니 이제 8년 차로 접어들었다.

블로그에 대단한 내용은 없지만 나의 IT 생활과 함께하며 작성한 작업일지? 일기? 와 같은 것이라서 애착을 가지고 꾸준히 포스팅 중이다.

 

블로그 변천사 - mapoo's blog


어느 날부터 블로그 엔진인 워드프레스를 교체하고자 하는 욕구가 들기 시작했는데,

아래 이유들로 인해 검토를 시작했다.

  • 구텐베르크 에디터가 기본 에디터로 등극
  • crayon syntax highlighter 가 fade-out 됨
  • 해킹으로 블로그 사이트가 종종 먹통이 됨
  • 신상 블로그 엔진으로 리뉴얼

 

그래서 최근에 정적 페이지 기반으로 블로그를 개편하는 것을 검토하고자 이것저것 알아보았다.

 

아래는 참고한 사이트들이다.

난 10년된 워드프레스에서 Jekyll로 마이그레이션

무거운 워드프레스에서 다른 블로그로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지킬, Jekyll)

Jekyll 블로그 만들기

본격적으로 Jekyll Theme 커스터마이징하기

워드프레스에서 지킬로 블로그 이동

WordPress로 운영하던 블로그를 Jekyll 기반의 정적 웹사이트로 변경한 이유와 과정

hugo, Hello Programmer 테마

gitlab pages와 hugo로 블로그 만들기

 
 
 

검토 결과,

  • 마이그레이션 이슈
    • 마이그레이션 툴을 쓰겠지만 동적 페이지 기반인 워드프레스를 정적 페이지(마크다운 형태 포맷)로 변경 시
      분명 제대로 변환되지 않아 노가다 공수가 너무 많을 것으로 예상됨.
    • 블로그 포스트가 적으면 그나마 할만하겠는데, 글이 너무 많다. 가장 큰 걸림돌이다.
  • 로딩 속도
    • 예전에 페이지 로드의 부하 요소들을 많이 제거하고 최적화함.
    • 정적 페이지보다 딱히 느린 것을 모르겠음.
  • 해킹 방어
    • 대비 이후 현재까지 무탈하게 돌아가는 중.
  • 호스팅 비용
    • 개인 esxi 서버를 무료로 돌리고 있다. 앞으로도 쭈욱 그렇 것으로 예상된다.
    • gitlab 을 이용하는 잇점이 나에게는 없다.
  • 에디터
    • 아직까지는 Classic Editor가 잘 돌아가서 글 쓰는데 큰 무리는 없다.
      (2023년 10월 기준, 이제는 Gutenberg Editor도 쓸만해 졌다. Classic Editor를 그만 사용하고 갈아탔다.)
    • 마크다운 문법보다 웹 에디터의 인터페이스가 더 직관적이고 편리하다.
    • code block에 대한 syntax highlight도 적절한 플러그인(Code Prettify)을 사용하여 해결되었다.

워드프레스는 아직까지 건재하고 사용하기에 나쁘지 않아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요즘 IT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블로그가 'github + 정적 페이지'가 대세로 보여 나도 편승해 보려 했다.

직장에서도 몇 가지 다른 CMS를 써보지만 완벽하게 좋은 툴은 없는 거 같다.

2022년 음력 새해 첫날, 워드프레스를 계속 잘 굴려 보기로 하고 글을 마무리한다.

WordPress 마이그레이션 검토
태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