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백업 관련 명령어


tar
- 로컬영역을 백업한다.
- tar cvfpz [백업파일] [대상파일]

예)# tar cvfpz home.tar.gz /home - /home 디렉토리를 home.tar.gz로 압축하여 백업한다.

dump
- dump [option] [backup_name] [dump_file]

option
- 0~9 : 덤프레벨 0은 전체백업이고 나머지는 부분백업이다.
- f : 백업할 미디어 및 파일명 지정

예)
# dump -0f home_backup /home - /home디렉토리를 home_backup이란 이름으로 dump한다.
# dump -0f usr_backup /dev/sda5 - /dev/sda5 파티션을 usr_backup이란 이름으로 dump한다.

restore
- dump된 파일을 복구한다.
- restore [option] [dump_file]

option
-i : 대화식으로 복구 파일을 선택 후 복원
-f : 백업 파일명으로 지정
-r : 전체 복원

---------------------------------------------------------------------------------------------

예) dump 명령어를 이용해 /home 폴더를 백업해 보자.

# mkdir backup - 백업할 폴더를 생성한다.
# cd backup

# dump -0f home-backup /home - /home폴더를 home-backup 이름으로 dump한다.
  DUMP: Date of this level 0 dump: Mon Nov 17 16:16:36 2008
  DUMP: Dumping /dev/sda6 (/home) to home-backup
  DUMP: Label: /home
  DUMP: Writing 10 Kilobyte records
  DUMP: mapping (Pass I) [regular files]
  DUMP: mapping (Pass II) [directories]
  DUMP: estimated 1890 blocks.
  DUMP: Volume 1 started with block 1 at: Mon Nov 17 16:16:41 2008
  DUMP: dumping (Pass III) [directories]
  DUMP: dumping (Pass IV) [regular files]
  DUMP: Closing home-backup
  DUMP: Volume 1 completed at: Mon Nov 17 16:16:42 2008
  DUMP: Volume 1 1820 blocks (1.78MB)
  DUMP: Volume 1 took 0:00:01
  DUMP: Volume 1 transfer rate: 1820 kB/s
  DUMP: 1820 blocks (1.78MB) on 1 volume(s)
  DUMP: finished in 1 seconds, throughput 1820 kBytes/sec
  DUMP: Date of this level 0 dump: Mon Nov 17 16:16:36 2008
  DUMP: Date this dump completed:  Mon Nov 17 16:16:42 2008
  DUMP: Average transfer rate: 1820 kB/s
  DUMP: DUMP IS DONE
# ls -l
-rw-r--r-- 1 root root 1863680 11월 17 16:16 home-backup

# file home-backup
home-backup: new-fs dump file (little endian), This dump Mon Nov 17 16:16:36 2008, Previous dump Thu Jan  1 09:00:00 1970, Volume 1, Level zero, type: tape header, Label /home, Filesystem /home, Device /dev/sda6, Host server3, Flags 3
- dump를 통해 생성된 home-backup파일의 파일 종류를 알아본다.

# du -sh home-backup
1.8M    home-backup
- dump를 통해 생성된 home-backup파일의 용량을 알아본다.

# restore -rf home-backup - dump인 home-backup파일의 전체를 복원한다.

# ls
aquota.user  install.log.syslog  ks.cfg  lost+found  protoss  terran  test1  test2  test3  zerg
home-backup  restoresymtable                 
# ls /home
aquota.user  install.log.syslog  ks.cfg  lost+found  protoss  terran  test1  test2  test3  zerg
- 원본 폴더와 비교해 보면 같은 파일이 복원된 것을 알 수 있다.

---------------------------------------------------------------------------------------------

예) dump를 통해 백업된 파일을 필요한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해서 복원해 보자.

# ls -l
-rw-r--r-- 1 root root 1863680 11월 17 16:16 home-backup

# restore -if home-backup - -i 옵션을 통해 필요한 파일 또는 폴더를 복원할 수 있다.
restore > help                  - dump -i 모드에서의 도움말을 확인 할 수 있다.
Available commands are:
        ls [arg] - list directory
        cd arg - change directory
        pwd - print current directory
        add [arg] - add `arg' to list of files to be extracted
        delete [arg] - delete `arg' from list of files to be extracted
        extract - extract requested files
        setmodes - set modes of requested directories
        quit - immediately exit program
        what - list dump header information
        verbose - toggle verbose flag (useful with "ls")
        prompt - toggle the prompt display
        help or `?' - print this list
If no `arg' is supplied, the current directory is used
restore > ls
aquota.user         lost+found/        test1/           zerg/
install.log.syslog  protoss/            test2/
ks.cfg                 terran/              test3/

restore > add test1
restore > add test2
restore > add test3 - 복원할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한다.
restore > ls
aquota.user         lost+found/        *test1/           zerg/
install.log.syslog  protoss/            *test2/
ks.cfg                 terran/               *test3/          - 복원할 파일 또는 폴더에 '*'가 붙여져 있다.

restore > extract   - dump파일에서 필요한 파일 또는 폴더를 푼다.
You have not read any volumes yet.
Unless you know which volume your file(s) are on you should start
with the last volume and work towards the first.
Specify next volume # (none if no more volumes): 1
set owner/mode for '.'? [yn] y

restore > quit       - 복원이 끝났으면 dump -i 모드를 종료한다.
# ls -l
합계 1836
-rw-r--r--  1 root  root  1863680 11월 17 16:16 home-backup
drwx------ 18 test1 test1    4096 11월 17 10:09 test1
drwx------  4 test2 test2    4096 11월 17 10:10 test2
drwx------  3 test3 test3    4096 11월 12 09:33 test3
- 선택한 파일 또는 폴더가 복원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dd (Disk Dump)
- dd if=[input_device] of=[output_device]

예) /dev/sda1 (= /boot) 파티션을 dd를 이용해 백업해 보자.

# fdisk /dev/sda - fdisk를 이용해 /dev/sda13 파티션을 새로 생성

# df -l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a2              9920624   1125780   8282776  12% /
/dev/sda7              9920592   3505976   5902548  38% /usr
/dev/sda6              9920592    154972   9253552   2% /home
/dev/sda5              9920592    490128   8918396   6% /var
/dev/sda1               101086     11128     84739  12% /boot
tmpfs                   512776         0    512776   0% /dev/shm
/dev/sda8              1929068      2880   1828196   1% /data1

# dd if=/dev/sda1 of=/dev/sda13
208782+0 records in
208782+0 records out
106896384 bytes (107 MB) copied, 17.1724 seconds, 6.2 MB/s
- /boot 파티션을 확인한 다음 dd 명령어를 이용해 디스크를 덤프시킨다.

# mkdir /boot-dd
# mount /dev/sda13 /boot-dd
- 마운트 할 폴더를 생성한 다음 dd로 생성한 /dev/sda13을 /boot-dd에 마운트 시킨다.

# ls /boot-dd
System.map-2.6.18-92.el5  grub                           lost+found   symvers-2.6.18-92.el5.gz
config-2.6.18-92.el5          initrd-2.6.18-92.el5.img  message     vmlinuz-2.6.18-92.el5
# ls /boot
System.map-2.6.18-92.el5  grub                           lost+found   symvers-2.6.18-92.el5.gz
config-2.6.18-92.el5          initrd-2.6.18-92.el5.img  message     vmlinuz-2.6.18-92.el5
- 원본 폴더와 비교해 보면 같은 파일이 복원된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http://bban2.tistory.com/68


DD명령어 활용



기능 : 부트 플로피나 스왑파일을 만드는 특수한 복사를 위한 명령어이다.


사용법 : dd 옵션


of=file : 표준출력대신 지정한 파일에 작성한다.

if=file : 표준입력대신 지정한 파일에서 불러들인다.

ibs=size : 지정한 사이즈만큼 읽는다.

obs=size : 지정한 사이즈만큼 쓴다.

bs=size : 지정한 사이즈만큼 읽고 쓴다.

count=n : 입력블록의 ibs크기만큼 복사한다.

conv=ascii : EBCDIC->ASCII로 변환

conv=ebcdic : ASCII->EBCDIC로 변환

conv=ibm : ASCII코드호환을 EBCDIC코드로 변환

conv=swab : 입력되는 두 바이트의 순서를 바꾼다. 입력파일에서 짝이 맞지 않는 하나의 비트가 남으면 , 마지막 바이트는 단순히 복사된다.


활용

dd if=kernel-image of=/dev/fd0 bs=1440 -> 커널이미지(부팅디스크)를 fd0디스크에 1.4mb 사이즈로 복사함

[출처] http://blog.naver.com/koleekr7/100092813697

NAME
       dd - 한 파일을 복사하는 동한 변환한다.

SYNOPSIS
       dd  [--help]  [--version]  [if=file]  [of=file] [ibs=bytes] [obs=bytes]
       [bs=bytes]  [cbs=bytes]  [skip=blocks]   [seek=blocks]   [count=blocks]
       [conv={ascii,ebcdic,ibm,block,unblock,lcase,ucase,swab,noerror,notrunc,
       sync}]

DESCRIPTION
       이 문서는 더이상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않다.  그래서,  몇몇틀릴  경우 도
       있고,  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완전한매뉴얼을 원하면, Texinfo 문
       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매뉴얼 페이지는 dd 명령의 GNU  버전에  대한  것이다.  dd 명령은 지정
       한  블럭크기만큼 파일을 복사하는데, 사용된다.  초기값으로는 표준 입력과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그 파일의 변환도 수행한다.  (즉,
       파일을 특정 크기로 나누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 옮긴이 말)

OPTIONS
       사용될 수 있는 블럭 크지 지정의 문자들은 다음과 같다:
       b=512, c=1, k=1024, w=2, xm=number m

       --help 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

       --version
              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

       if=file
              표준 입력 대신에 지정한 file을 입력 대상으로 한다.

       of=file
              표준 출력 대신에 지정한 file을 출력 대상으로 한다.  conv=notrunc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 한은, seek= 바이트 크기에 따라 ( seek= 크기
              가 0아닌 한) 지정한 크기에 따라 출력 파일을 자른다.

       ibs=bytes
              한번에 bytes 바이트씩 읽는다.

       obs=bytes
              한번에 bytes 바이트씩 쓴다.

       bs=bytes
              한번에 bytes 바이트씩 읽고 쓴다.  ibs, obs 값 무시.

       cbs=bytes
              한번에 bytes 바이트씩 변환한다.

       skip=blocks
              입력 시작에서 blocks 단위 만큼 ibs 크기를 건너띈다.(가령 skip=5,
              ibs=10 이면, 처음 50바이트를건너띄어 작업을 계속한다.)

       seek=blocks
              출력 시작에서 blocks 단위 만큼 ibs 크기를 건너띈다.

       count=blocks
              입력의 blocks 의 ibs 크기만큼만 복사한다.

       conv=conversion[,conversion…]
              대상 파일로 복사할 때, conversion 으로 변환 한다.
              Conversions:
              ascii  EBCDIC 코드를 ASCII 코드로.

              ebcdic ASCIi 코드를 ebcdic 코드로.

              ibm    ASCII 코드를 alternate EBCDIC 코드로.

              block  cbs 단위로 변환 할 때 읽은 것 안에 있는 줄바꿈 문자들을공
                     백 문자로 바꾼다.

              unblock
                     cbs 단위로 변환 할 때 읽은 것 안에 있는 공백 문자들을줄바
                     꿈 문자로 바꾼다.

              lcase  대문자를 소문자로

              ucase  소문자를 대문자로

              swab   입력되는 두 바이트의 순서를 바꾼다.  유닉스의 dd 명 령 과
                     달 리, 이것은 읽혀질 짝이 맞지 않는 추가 바이트 하나가 생
                     겼을 때는그냥 그대로 작업한다.  즉, 입력 파일에서 짝이 맞
                     지 않는 하나의 바이트가 남으면, 마지막 바이트는 그냥 단순
                     히 복사된다.  (이것의 순서가 바뀌지 않는한)

              noerror
                     오류를 읽어도 계속 한다.

              notrunc
                     출력 파일을 자르지 않는다.

              sync   ibs 블럭 크기와 obs 블럭 크기가 차이가 있을 경우, 그 여백
                     을 NULL문자로 채운다.

리눅스 백업 - dump & disk dump & dd 명령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