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g가 active 될 때 /etc/fstab의 값을 참조하여 systemd에 의해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과 방지 방법에 대한 가이드임.

RHEL 7은 systemd가 이 부분을 컨트롤하는 관계로 RHEL 6와 다르게 동작을 한다.
따라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고 작업에 따라 mask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 3번 과정에서 auto mount가 이루어 진다.
1) vgchange -a n VG
2) 볼륨작업
3) vgchange -a y VG

- RHEL 7에서 auto mount를 방지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systemctl mask 처리
(관련 KCS 문서 :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3059631)

2. fatab 설정
- /etc/fstab의 해당 볼륨의 마운트 부분을 임시로 주석처리 또는 noauto 옵션 적용 -> umount 볼륨 -> systemctl daemon-reload

* KCS 문서의 내용 처럼 1번 방법을 사용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 참고로 vgchange 에서 automount가 되지 않도록 하는 옵션을 확인해 보았지만 확인되지 않는다.

아래는 systemctl mask 처리 방법으로 테스트 진행한 내용임.
1) test lvm 볼륨 - /mnt 정보 확인
[root@pcm01 ~]# cat /etc/fstab | grep mnt
/dev/vg01/lv01 /mnt xfs defaults 0 0

[root@pcm01 ~]# mount | grep /mnt
/dev/mapper/vg01-lv01 on /mnt type xfs (rw,relatime,attr2,inode64,noquota)

2) umount /mnt
[root@pcm01 ~]# umount /mnt

3) /mnt 볼륨 mask
[root@pcm01 ~]# systemctl mask mnt.mount
Created symlink from /etc/systemd/system/mnt.mount to /dev/null.

4) masked 확인
[root@pcm01 ~]# systemctl --all | grep \\.mount | grep mnt.mount
● mnt.mount masked inactive dead mnt.mount

5) vg inactive 설정
[root@pcm01 ~]# vgchange -an vg01

6) vg active 설정
[root@pcm01 ~]# vgchange -ay vg01

7) /mnt 볼륨 마운트 확인
[root@pcm01 ~]# mount | grep /mnt
-> 마운트 안됨

8) /mnt 볼륨 수동으로 마운트
[root@pcm01 ~]# mount /mnt

9) /mnt 볼륨 unmask (unmask를 하지 않으면 부팅 시 /mnt 볼륨이 mount가 되지 않음)
[root@pcm01 ~]# systemctl unmask mnt.mount
Removed symlink /etc/systemd/system/mnt.mount.

10) /mnt 볼륨 loaded 상태 확인
[root@pcm01 ~]# systemctl --all | grep \\.mount | grep mnt.mount
# systemctl --all | grep \\.mount | grep mnt.mount
mnt.mount loaded active mounted /mnt

 

* 추가적으로 xfs 파일시스템은 reduce(축소)가 되지 않는점 참고
아래는 관련 KCS 문서임.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540013

auto mount while vg activ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