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륨그룹(VG)명 변경하기 #####

볼륨그룹명이 충돌하여 LV를 인식하는데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보통의 경우엔 생기지 않는 문제이지만 다른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한 LVM 기반 HDD를 장애처리를 위해 붙힐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dev/vg_0/home 이라는 LV device를 이미 /dev/vg_0/home이 운영중인 시스템에 인식시키는 경우엔 중복되어 장치인식에 문제가 발생을 한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VG 이름을 변경하여 중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 기존 볼륨그룸명 vg_0에서 vg_7로 변경한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는 예임.

1. LV 장치 검색
[root@Sample-local ~]# lvscan
  ACTIVE            '/dev/vg_1/data1' [1.82 TB] inherit
  ACTIVE            '/dev/vg_0/home' [1.82 TB] inherit

2. vg_0 볼륨그룹에 속한 LV장치(/dev/vg_0/home)를 마운트 해제
[root@Sample-local ~]# umount /home

3. vg_0 볼륨그룸을 inactive 시킴
[root@Sample-local ~]# vgchange -a n vg_0
  0 logical volume(s) in volume group "vg_0" now active

4. vg_0 볼륨그룹이 inactive 됐는지 확인
[root@Sample-local ~]# lvscan
  ACTIVE            '/dev/vg_1/data1' [1.82 TB] inherit
  inactive          '/dev/vg_0/home' [1.82 TB] inherit

5. vg_0 볼륨그룹명을 vg_7로 변경
[root@Sample-local ~]# vgrename vg_0 vg_7
  Volume group "vg_0" successfully renamed to "vg_7"

6. vg_7 볼륨그룹을 ACTIVE 상태로 변경
[root@Sample-local ~]# vgchange -a y vg_7
  1 logical volume(s) in volume group "vg_7" now active

7. vg_7 볼륨그룹이 ACTIVE 됐는지 확인
[root@Sample-local ~]# lvscan
  ACTIVE            '/dev/vg_1/data1' [1.82 TB] inherit
  ACTIVE            '/dev/vg_7/home' [1.82 TB] inherit

8. 원래대로 /dev/vg_7/home LV 장치를 /home에 마운트
[root@Sample-local ~]# mount -t ext3 /dev/vg_7/home /home

이제 다른 시스템에서 운영중에 장애가 발생한 /dev/vg_0/home 을 붙히면 된다.
- 리부팅을 해야 OS에서 제대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셧다운 후 붙히는게 좋다.

그리고 작업이 다 끝났다면, 필요시 위에서 바꾼 볼륨그룹명 vg_7은 원래대로 vg_0 변경하면 된다.
단, 임시로 붙혔던 /dev/vg_0/home LV 장치(다른시스템에서운영했던)가 제거되고 볼륨그룹명 변경작업을 해야된다.
- 리부팅을 해야 OS에서 제대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다운 시키고 장치 제거 후 부팅한뒤 작업하는게 좋다.

LVM 볼륨그룹명 변경하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