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킨토시의 OS 환경은 User Friendly 방식이라 일반 PC와 비교하여 사용상 편리한 점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편한 사용이 되도록 해주는 단축키의 기능들을 모르시는 사용자분들이 의외로 많기에 간단한 단축키의 기능들을 정리하여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용례 : 마크가 있는 Command Key는 Com으로, Control Key는 Ctrl로, Option Key는 Opt로, 그리고 Shift Key는 Sft로 단축시켜 표기하겠습니다. (그리고 +는 동시에 누른다는 의미입니다.)

1. 강제 종료 : Com+Opt+esc

이는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얼어 붙어 아무런 키도 동작이 되지 않을 때, 사용하고 있는 현재의 프로그램만을 종료시키는 기능입니다.
이 때 강제종료를 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상자가 나오며 'Quit'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이 방법으로도 계속 얼어 있는, 즉 Down된 상태라면 아래의 단축키로 강제 재시동을 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그동안 작성했던 내용들은 저장이 되지를 않습니다.
(esc Key는 키보드의 종류에 따라 옆으로 동그란 원안에 비스듬한 화살표가 들어 있는 모양[]으로 표기가 되어 있기도 하며, 키보드 상단의 제일 좌측에 있는 Key입니다.)

2. 강제 재시동 : Com+Ctrl+시동키

이는 그 어떤 방법으로도 얼어 있는 상태에서 빠져 나오지 못할 때 쓰는 기능키입니다.
이 또한 그동안 작업한 내용은 저장이 되지를 않습니다.
(시동키는 키보드 상단의 제일 우측에 있는 키로 옆으로 누운 삼각형 모양으로 표기가 되어 있으며, OS의 버젼에 따라 종료키로도 동작을 합니다.)

3. 화면 캡쳐 : Com+Sft+3 or Com+Sft+4

이 기능은 현재 화면상에 보여지는 내용을 캡쳐하여 Pict 파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Com+Sft+3은 화면 전체를 캡쳐하는 명령이고, Com+Sft+4는 캡쳐하길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캡쳐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Com+Sft+4의 경우에는 명령 수행후 커서의 모양이 화살표에서 십자 모양으로 변하여 캡쳐하길 원하는 부분의 좌측상단점에 마우스를 누른 채로 대각선 방향으로 Drag를 하신후 마우스에서 손을 떼면 캡쳐가 되게 됩니다.
이 두 방법 모두 다 명령 수행후에는 찰칵하는 셔터음이 들리며, 내장하드디스크를 더블 클릭하여 열어 보시면 그림1, 그림2, 그림… 등과 같은 파일명으로 캡쳐된 내용을 저장하게 됩니다.
캡쳐된 파일들은 모두 Pict 포맷으로 작성이 되어 있으며, 더블 클릭을 하면 Simple Text라는 프로그램으로 열리게 되어 여기에서 또 한 번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편집 메뉴의 베껴두기를 하시고 ClarisWork등과 같은 워드프로세서나 포토샵과 같은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편집 메뉴의 붙이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4. 파일 복사 : Opt

이는 같은 저장장치에서 파일을 옮기는 경우가 아닌, 즉 이동이 아닌 복사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파일을 선택하기 전에 Opt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을 선택한후 다른 폴더로 가져가 손을 떼시면 원본은 그대로 둔 채 또 하나의 파일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저장장치, 즉 내장하드에서 외장하드등으로 파일을 가져가는 경우에는 Opt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냥 복사가 됩니다.

5. 휴지통 강제로 비우기 : Opt

휴지통 비우기를 선택하시면 버려 질 파일의 수와 용량등을 표기하고 지울 것인가를 묻는 대화상자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Opt를 누른 상태에서 휴지통 비우기를 선택하시면 아무런 대화상자도 표시하지 않고 바로 삭제가 되며, 간혹 나오는 메세지인 "파일이 잠겨 ….."하는 등의 문구 또한 나타나지를 않습니다.

6. 아이콘 정렬 : Opt

이 기능은 한글시스템 7.X에서 사용하는 기능이며 한글시스템 8.X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기능입니다.
폴더를 열었을 때 나타나는 아이콘들을 가나다순으로 정렬을 하여 정리하시고자 하신다면 일반 상태에서는 상단의 기타명령의 부메뉴로 윈도우 정리가 나타나지만 Opt를 누른 상태에서 기타명령을 선택하시면 부메뉴로 이름순으로 정리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폴더를 열었을 때 아이콘이 아닌 목록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어찌될까요?
이는 한 번 직접 확인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7. PRAM 소거 : Com+Opt+P+R

이 기능은 컴퓨터가 자주 오동작을 일으킬 때,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남아 있는 설정치들을 초기 상태로 돌려 주어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없앨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사용 방법은 컴퓨터가 종료된 상태에서 시동키를 누르신 후 '띵'하는 시동음이 들리면 위의 조합키를 누른 상태로 잠시 있으면 다시 한 번 시동음이 들리게 되며, 이 때에 손을 떼시면 됩니다.
간혹 컴퓨터 시동후 하드디스크의 회전음이 들리지 않고 그냥 멈추어 있는 듯한 상태가 발생할 때 이 명령을 사용하여 하드디스크를 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할 때도 있습니다.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님.)

8. 데스크탑 정리 : Com+Opt

이 기능은 간혹 아이콘의 모양이 탈색이 되어 좌측상단이 접힌 여백의 모양으로 나타나는 파일들이 있을 경우나, 컴퓨터를 시동하면 컴퓨터 종료 이전에 말끔하게 배치를 해 놓은 데스크탑 상의 폴더들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현상이 발생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사용법은 재시동후 데스크탑이 완전히 뜨기 이전에 위의 조합키를 누르고 있으면 화면상에 '데스크탑을 재형성하겠습니까?"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이 때 승인 버튼을 누르면 하드디스크가 돌아 가는 소리가 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데스크탑이 뜨게 됩니다.

그런 후 탈색이 되었던 아이콘을 확인하여 보면 이전에 있던 아이콘의 모양이 살아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이 방법으로도 아이콘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Norton Utility등과 같은 하드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하드디스크를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컴퓨터를 재시동하지 않고 이 기능을 사용하시고자 한다면 1번 항목에서 설명드린 프로그램 강제 종료를 선택한 후 바로 데스크탑 정리 조합키를 눌러 재시동이 없이 데스크탑을 정리하실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프로그램의 사용 화면이 아닌 데스크탑 사용 상태에서 실행하셔야 합니다.)

9. 컨텍스츄얼 메뉴 : Ctrl

이는 한글시스템 8.X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으로 파일이나 폴더, 혹은 데스크탑을 선택하기 전에 Ctrl을 누른 상태에서 폴더나 파일을 선택하면 일반 PC에서와 같이 부메뉴가 나타나 정보입수라든가 메모리 조정, 휴지통에 버리기 등과 같은 메뉴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가 있는 기능입니다.

10. 가상본 만들기 : Com+Opt

이 기능은 한글시스템 8.X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본 생성시 일반적으로 파일메뉴의 가상본 만들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때에는 생성된 가상본의 파일명 뒤에 '가상본'이라는 문구가 추가되어 파일명이 길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가상본을 만들고자 하는 파일들을 선택한후 다른 폴더로 Drag를 하기 전에 위의 조합키를 누른 상태에서 Drag를 하여 마우스에서 손을 떼게 되면 바로 가상본이 만들어지게 되며 파일명 또한 동일한 파일명을 유지하게 됩니다.

11. CD로 부팅하기 : C

이 기능은 한글시스템 CD와 같이 부팅 기능이 있는 CD를 사용하여, 내장하드디스크가 아닌 CD로 부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이 되며, 한글시스템을 다시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장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된 상태에서 시스템을 설치하기 보다는 CD로 부팅한후 한글시스템을 설치할 것을 권유합니다.
사용 방법은 컴퓨터를 시동시에 C를 누르고 계시다가 화면상에 Happy Mac(웃는 모습이 있는 작은 모니터 그림)이 나타나면 손을 떼시면 됩니다.
그런후에 데스크탑을 보면 CD 아이콘이 내장하드디스크 보다 상단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게 되며, 이는 CD내에 있는 한글시스템으로 부팅이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물론 컴퓨터가 켜 있는 상태에서 CD를 집어 넣은 후, 애플메뉴(화면 좌측 상단의 )를 눌러 조절판의 '시동 디스크'나 'Startup Disk'를 선택한 후 나타나는 대화상자에서 CD 아이콘을 한 번 누른 상태에서 재시동을 해도 무방합니다.

12. 외장하드로 부팅하기 : Com+Opt+Sft+Delete

이 기능은 내장 하드디스크가 아닌 외장하드디스크로 부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기능이며, 물론 외장하드에는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는 한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간혹 11번 항목의 CD로 부팅하기 기능을 사용해도 CD로 부팅이 안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하여 CD로 부팅을 시키기도 합니다.)

매킨토시 단축키와 기능키들 모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