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보통 Windows PC(노트북)의 전원을 잘 끄지 않고 대부분 절전모드를 이용한다.

 

1. 절전모드 사용 현황

노트북에 Windows 10 OS를 사용하면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놓고 사용한다.

1.1. 절전모드 진입

- 절전모드 실행 파일을 작업 표시줄에 위치시키고 PC 사용을 안할 때 클릭하여 절전모드로 진입시킨다.

해♥환♥이

1.2. 절전모드 해제

- USB 유선키보드를 이용하여 절전모드 해제 (키보드의 아무키나 누르면 절전모드에서 깨어남)

 

1.3. 전원관리 옵션

- 전원관리 옵션은 아래처럼 설정하였다.

 

그런데 USB 키보드를 통해 절전모드를 해제 후 PC를 사용하다보면 위와 같은 설정은 무시된채 IDLE상태(키보드,마우스 무입력상태)에서 2분 후 쯤 다시 절전모드로 진입해버린다.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절전모드 진입.. 자주 다시 켜줘야 한다.. ㅠㅠ 귀찮다.

하지만 Windows 를 완전히 껐다가 켰을 경우에는 위 전원관리 옵션의 설정대로 IDLE 상태로 시간이 흘러도 절전모드 진입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비슷한 사례를 구글링해도 찾아지질 않아서 검색의 단서가 필요했다.

 

그래서 원인을 추적해 봤다.

2. 원인 추적

2.1. 보고서 작성

- 시스템 절전 모드 전환 진단 보고서를 작성

1) cmd 창을 관리자 모드로 열고서 powercfg /SYSTEMSLEEPDIAGNOSTICS 명령을 수행한다.

2) 익스플로러로 보고서 파일을 연다.

 

2.2. 보고서 파일 분석

1) 분석할 시간대의 로그를 클릭

 

2) 이벤트 내용 확인

- System Idle Events 탭을 클릭하여 자세한 로그를 확인한다.

 

- 빨간 부분의 로그가 찍힌 시각에 본인이 직접 윈도우즈 전원 관리 옵션의 설정을 변경했었다.

idle time 이 120초로 reset 되고 다시 4294967295초(무한.. 즉 0으로 설정했을 때..)로 변경된 점이 확인된다.

The system idle time was reset because: The system idle parameters changed.

The system idle time was initialized to 120 seconds. Initialization source: The user is not present. Using UnattendTimeout.

-->

The system idle time was reset because: The system idle parameters changed.

The system idle time was initialized to 4294967295 seconds. Initialization source: The system idle timeout is disabled because the system does not support an idle state.

나는 120초(2분)로 설정한 적이 없는데, 왜 idle time 기준 시각이 120초로 된걸까..?

 

- 아래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USB 키보드를 통해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120초가 지난 후 찍힌 로그 상황을 보여 준다.

 

정확히 120초 동안 user input이 없자 Sleeping3(S3) 절전모드로 진입을 한다.

The system idle time was reset because: The system detected user input  --> 이 로그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한 입력이 있었기 때문에 idle time 카운트가 초기화 되었음을 나타냄.

 

- 정황상 아래와 같은 추측이 가능해 졌다.

* OS 부팅에 의한 PC 켜짐 - 전원관리 옵션 설정 값을 따름.

* 절전모드 해제(USB장치, WOL 등)에 의한 PC 켜짐 - Windows OS가 idle time 기준값을 120초로 reset을 시킴.(전원관리 옵션에는 이것을 설정하는게 없음)

 

위 분석을 근거로 구글링을 해봤더니 이 현상의 원인을 설명해준 아래 사이트가 검색이 되었다.

https://superuser.com/questions/124772/windows-7-goes-to-sleep-in-conflict-with-power-option-setting

글의 내용 중 'I had the same problem on Windows 10 and it happened when I resumed' 로 시작하는 답변글에 해답이 있었다.

히든 메뉴(레지스트리)를 통해 120초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idle time 설정 변경

- 절전모드가 해제된 후의 절전모드 재진입을 위한 idle time 기준값 변경은 아래와 같이 하면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아래 위치로 이동한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Power\PowerSettings\238C9FA8-0AAD-41ED-83F4-97BE242C8F20\7bc4a2f9-d8fc-4469-b07b-33eb785aaca0\DefaultPowerSchemeValues\8c5e7fda-e8bf-4a96-9a85-a6e23a8c635c

- 자신의 노트북 전원관리 옵션에 맞게 카테고리 중 균형, 고성능, 절전 중 하나의 항목에서 값을 변경한다. (참고로 전원관리 기본 옵션은 균형이다.)

- 참고로 나의 노트북 전원관리 옵션은 고성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고성능 카테고리에서 수정함.

 

- 균형, 고성능, 절전 카테고리로 나뉘며, 또한 AC(아답터또는파워서플라이), DC(배터리)로 나뒨다.

 

이제 재부팅을 해서 레지스트리 반영을 하면 Windows의 전원 관리 옵션의 설정 값을 따르게 된다.

IDLE시 절전모드 재진입 시간 변경(Windows)
태그:                                 

IDLE시 절전모드 재진입 시간 변경(Windows)”에 대한 3개의 생각

  • 2018년 5월 22일 10:57 오후
    고유주소

    님처럼 Windows 10 기반 노트북을 절전모드를 이용해 사용하는 1인 입니다.
    증상이 똑같았습니다. 돌아서면 꺼져있고 ㅠㅠ
    하지만 구글링을 계속하다가 답이 안나와서 거의 포기했었는데…
    이곳에서 해답을 찾았네요.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응답
    • 2018년 9월 6일 1:42 오후
      고유주소

      저도 많이 해맸었습니다. ㅎㅎ 도움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응답
  • 2019년 8월 21일 2:04 오후
    고유주소

    비슷한 상황에서 참고하여 조치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