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버전으로 사용할경우 시리얼 필요하지 않습니다.
▶ 필독사항……………………..
지원받는 컴퓨터인 경우 "Setup버전은 물론 포터블 버전(크랙된 버전)" 도 원격에서 리부팅과 로그오프를 지원하는것은 따로 있습니다.
원격지컴퓨터(포터블도 상관없습니다)에서 리부팅과 로그오프를 사용 하려면 나와있는 여러버전 중 잘 골라 선택해야 합니다.
설치버전인 Setup버전으로 사용할 경우…
개인용[personal/non-commercial use] 과
상업용[company/commercial use] 그리고
위의 두가지[both of the above] 이렇해 해서 세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무료버전인(개인용)으로 사용코자 한다면 "필히" advenced 옵션에서 [personal/non-commercial use]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세가지 옵션 에서
[company/commercial use]을 선택 할 경우 free가 아니라 trial로 동작합니다.
uninstall도 소용없고요. 컴터 1대당 1개 아이디가 할당되고 아이디별로 서버측에서 라이센스가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럴경우는 포터블이던 뭐던 그 컴퓨터에서는 영원히 free 버전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트라이얼 기간이 끝날경우, 그 PC로는 외부 접속 형식으로 원격 서버, 원격 접속 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내부 랜 모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죠.
▶ 만약 다시 무료버전 으로 다시 사용코자 한다면… 두개의 경우가 존재합니다◀
▷ 첫번째의 경우 teamviewer 홈페이지 support 페이지에서 submit ticket 메뉴를 통해 안되는 영어로 문의를 해야합니다. 그후…
그쪽에서 teamviewer 아이디 를 [personal/non-commercial use]로 바꿔줄 경우만 해결됩니다.
경고창 뜨고 끊어지는 분은 혹시 한 ID로 여러군데 접속[company/commercial use]하는 컴퓨터로 의심하는 정책이 있는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네요.
▷ 두번쨰의 경우 < TeamViewer Reset Wizard 사용법 > 이라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팀뷰어를 종료한다.
2. application data 폴더의 teamviewer 폴더를 삭제 해야한다.
3. teamviewer 관련 레지스트리를 삭제한다.
4. CMD창에 ipconfig /al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나오는 Physical Address 가
자신의 네트워크카드에 할당된 MAC 주소이며 ip주소도 확인 할수있다.
이제는 아래에 있는 2번 과 3번 을 참조하여 공유기의 MAC주소와 제어판에 있는 네트워크어뎁터의 MAC주소를 바꿔줘야 합니다.
그 이후 CMD창에 ipconfig /all를 다시한번 실행하여 바뀐것을 확인후…..
5. TeamViewer_Reset.exe를 실행하여 사용중인 랜카드를 선택하고 새로운 Mac address를 입력한다(12자리)
"TeamViewer Reset" 버튼을 클릭하고 "Change Mac" 버튼을 클릭한다.
8. 컴퓨터를 리부팅한다………………….
무설치형으로 간단히 사용할 경우에도 Setuo버전과 마찬가지로 아주 유용한 툴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속의 인터넷 망에서도 일정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으니 말입니다.
원격지의 해상도가 더 높을 경우에 그것을 현재 해상도에 맞게 줄여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그리고, 품질을 우선하거나 또는 속도를 우선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구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참고로 팀뷰어 문의 접수를 해보니, 한글로도 되는것 같습니다.